맨위로가기

성령 (기독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령은 기독교에서 성부, 성자와 함께 삼위일체를 이루는 하나님의 세 번째 위격으로,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신약성경에서 성령은 '프뉴마'(πνεῦμα)로 약 385번, '프뉴마 토 하기온'(Πνεῦμα τὸ Ἅγιον)으로 언급되며, '성신' 또는 '성령'으로 번역된다. 구약성경에서는 '하나님의 영', '지혜의 영' 등으로 표현된다. 기독교 교리에 따르면 성령은 창조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예수의 잉태, 세례, 부활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령은 신자에게 영감을 주고, 성령의 열매와 은사를 통해 기독교인의 삶을 이끌며, 삼위일체 교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성령은 물, 기름, 불, 비둘기, 바람 등 다양한 상징으로 표현되며, 기독교 미술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령 - 제3제국
    제3제국은 역사와 사상 속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 용어로, 요아킴 데 피오레의 삼시대설에서 비롯된 이상 사회, 러시아와 북유럽 사상가들의 이상 국가, 아르투르 묄러 판 덴 브루크의 제3의 제국 건설 주장을 포함하며, 나치 독일이 선전 용어로 사용했지만 그 의미와 목표는 차이가 있고, 헨리크 입센의 희곡에서도 다른 의미로 등장하므로 시대적, 사상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
  • 성령 - 성령의 중보
  • 기독교의 신 - 예수
    예수는 기원후 1세기경 갈릴리에서 활동한 유대인으로, 기독교의 중심 인물이자 하느님의 아들로 여겨지며, 복음서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고 공생애를 시작하여 가르침을 전파하고 기적을 행했으며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후 부활했다고 전해진다.
  • 기독교의 신 - 신명사문자
    신명사문자는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하느님의 이름으로 여겨지는 네 개의 히브리 문자 יהוה(YHWH)를 음역한 것으로, 히브리어 성경에서 기원하며 다양한 종교에서 다르게 다루어진다.
  • 성령론 - 기독교의 신
    기독교의 신은 기독교에서 숭배하는 유일신으로, 유대교 및 이슬람교와 같이 아브라함을 공유하며, 구약성경에서는 다양한 이름으로 나타나고, 신의 속성과 본질은 신학적 논의를 통해 이해되며, 미술에서는 상징으로 묘사되고, 삼위일체론으로 설명된다.
  • 성령론 - 독력주의
    독력주의는 기독교 신학에서 구원이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인 은혜로만 이루어지며 인간의 의지나 협력이 필요 없다는 교리로서, 도르트 신조, 벨기에 신앙고백, 일치신조 등 다양한 신앙고백 표준에서 정의되고, 특히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통해 강조되며, 인간의 전적 타락과 하나님의 무조건적인 선택을 강조하며, 루터교와 칼뱅주의를 포함한 일부 교파에서 옹호된다.
성령 (기독교)
기독교에서의 성령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성 삼위일체》 이콘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성 삼위일체》 이콘 (1410년대).
다른 이름성령, 성신, 하나님의 영, 그리스도의 영, 주님의 영, 진리의 영, 보혜사
유형삼위일체의 세 번째 위격
상징비둘기, 불, 물, 기름, 바람
기념일오순절
신학적 관점
기독교 교파모든 주요 교파
삼위일체믿음
위격신성
본질신성
사도 신경언급됨
니케아 신경언급됨
성경에서의 역할
구약창조, 예언, 지도력 부여
신약예수의 사역, 교회 설립, 신자에게 능력 부여
관련 개념
은사지혜, 지식, 믿음, 병 고침, 능력, 예언, 영 분별, 방언, 방언 통역
성령 세례성령의 능력을 받는 경험
성령 충만성령의 인도와 능력을 따르는 삶
삼위일체성부, 성자, 성령은 한 분 하나님

2. 어원 및 명칭

코이네 헬라어 ''pneûma''(πνεῦμαgrc, pneuma)는 신약성경에서 약 385번 발견되며, 벌게이트 역에서는 ''Spiritus''(영) 및 ''Spiritus Sanctusla''(성령)으로 번역되었다. 영어 단어 "Holy Ghost"(성신)와 "Holy Spirit"(성령)은 완전히 같은 의미를 가지며, 킹 제임스 성경은 두 용어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했으나, 20세기부터는 "Holy Spirit"을 압도적으로 선호한다.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에서 성령을 나타내는 표현은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2. 1. 어원

πνεῦμα|프네우마|pneumagrc코이네 헬라어로, 신약성경에서 약 385번 발견되며, 일부 학자들은 3~9번 정도 차이가 있다고 본다.[166] ''Pneuma''는 4개의 정경 복음서에서 105번, 사도행전에서 69번, 바오로 서신서에서 161번, 그리고 다른 곳에서 50번 나타난다.[166] 이러한 용도는 다양한데, 133번은 일반적인 의미의 "정신"을, 153번은 "영적"인 것을 의미한다.[166] 약 93번은 성령을 언급하며,[166] 때로는 ''pneuma''라는 이름으로, 때로는 명시적으로 ''pneûma tò Hagion'' (Πνεῦμα τὸ Ἅγιον|프뉴마 토 하기온grc)으로 나타난다.[166] (경우에 따라 단순히 ''바람''이나 ''삶''을 의미하기도 한다.[166]) 일반적으로 벌게이트 역에서는 ''Spiritus''(영) 및 ''Spiritus Sanctus''(성령)으로 번역되었다.

"Holy Ghost"(성신)와 "Holy Spirit"(성령)이라는 영어 단어는 완전히 같은 의미를 가진다. 하나는 고대 영어 ''gast''에서 유래했고, 다른 하나는 라틴어 외래어인 ''spiritus''에서 유래했다. ''프뉴마''처럼, 이 두 용어는 호흡, 생명력, 영혼을 의미한다. 고대 영어 용어는 다른 모든 게르만어 (예: 독일어 ''Geist'' 비교)와 비슷하지만, 좀 더 오래되었고, 킹 제임스 성경은 일반적으로 "Holy Ghost"를 사용했다. 20세기부터 성경 번역들은 "Holy Spirit"을 압도적으로 선호하는데, 이는 부분적으로 일반적인 영어 용어 "ghost"가 죽은 사람의 영혼만을 지칭하는 의미로 점점 더 좁혀졌기 때문이다.[167][168][169]

2. 2. 명칭

코이네 헬라어 ''pneûma''( πνεῦμαgrc, pneuma )는 신약 성서에서 약 385회 발견되며, 일부 학자들은 3~9회 정도 차이가 있다고 본다.[166] ''Pneuma''는 네 개의 정경 복음서에서 105번, 사도행전에서 69번, 바오로 서신에서 161번, 그리고 다른 곳에서 50번 나타난다.[166] 이러한 용례는 다양한데, 133건은 일반적인 의미의 "정신"을, 153건은 "영적인" 것을 의미한다.[166] 약 93번은 성령에 대한 언급이며,[166] 때로는 ''pneuma''라는 이름으로, 때로는 명시적으로 ''pneûma tò Hagion''( Πνεῦμα τὸ Ἅγιονgrc )으로 나타난다.[166] (경우에 따라 단순히 ''바람''이나 ''삶''을 의미하기도 한다.[166]) 일반적으로 벌게이트 역에서는 영(''Spiritus'') 및 성령(Spiritus Sanctusla)으로 번역되었다.

영어 용어 "성신"(Holy Ghost)과 "성령"(Holy Spirit)은 완전한 동의어이다. 하나는 고대 영어 ''gast''에서 유래했고, 다른 하나는 라틴어 차용어 ''spiritusla''에서 유래했다.[167][168][169] ''프네우마''처럼, 두 용어는 호흡, 생명력, 영혼을 의미한다.[167][168][169] 고대 영어 용어는 다른 게르만어 (예: 독일어 ''가이스트'' 비교)와 비슷하지만 더 오래되었고, 킹 제임스 성경에서는 두 용어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했다. 20세기의 성경 번역들은 "성령"을 압도적으로 선호한다. 일반적인 영어 용어 "유령"(ghost)은 점점 더 죽은 사람의 정신만을 언급하게 되었다.[167][168][169]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에서 성령을 나타내는 표현은 하위 섹션을 참고.

2. 2. 1. 구약성경

וְר֣וּחַ קָדְשׁ֑וֹ|Ruah qadesow|성령he (이사야 63:10)[171][18]

וְר֣וּחַ קָ֝דְשְׁךָ֗|Ruah qadseḵa|성령he (시편 51:11)[172][19]

וְר֣וּחַ אֱלֹהִ֔ים|Ruah Elohim|하나님의 영he (창세 1 : 2)[173][20]

נִשְׁמַת-ר֨וּחַ חַיִּ֜ים|Nismat Ruah hayyim|생명의 생명의 숨결he (창세 7:22)[174][21]

ר֣וּחַ יְהוָ֑ה|Ruah YHWH|영의 영he (이사야 11 : 2)[175][22]

지혜의 영 (이사야 11 : 2)[175]

ר֤וּחַ עֵצָה֙ וּגְבוּרָ֔ה|Ruah esah ugeburah|변호의 정신과 능력he (이사야 11 : 2)[175][22]

지식의 정신[176][23]과 야웨의 두려움 (이사야 11 : 2)[175][22]

ר֧וּחַ חָכְמָ֣ה וּבִינָ֗|rûaḥ ḥokmâ ûbînâ|지혜와 깨달음의 영he (이사야 11:2)[22]

ר֥וּחַ דַּ֖עַת וְיִרְאַ֥ת יְהוָֽה|rûaḥ daʿat wəyīrəʾat YHWH|여호와를 경외하는 영he (이사야 11:2)[22]

2. 2. 2. 신약성경

코이네 헬라어 ''pneûma''( πνεῦμαgrc, pneuma )는 신약 성서에서 약 385번 발견되며, 일부 학자들은 3~9번 정도 차이가 있다고 본다.[166] ''Pneuma''는 4개의 정경 복음서에서 105번, 사도행전에서 69번, 바오로 서신에서 161번, 그리고 다른 곳에서 50번 나타난다.[166] 이러한 용례는 다양한데, 133건은 일반적인 의미의 "정신"을, 153건은 "영적인" 것을 의미한다.[166] 약 93번은 성령에 대한 언급이며,[166] 때로는 ''pneuma''라는 이름으로, 때로는 명시적으로 ''pneûma tò Hagion''( Πνεῦμα τὸ Ἅγιονgrc )으로 나타난다.[166] (경우에 따라 단순히 ''바람''이나 ''삶''을 의미하기도 한다.[166]) 일반적으로 벌게이트 역에서는 영(''Spiritus'') 및 성령으로 번역되었다.

영어 용어 "성신"(Holy Ghost)과 "성령"(Holy Spirit)은 완전한 동의어이다. 하나는 고대 영어 ''gast''에서 유래했고, 다른 하나는 라틴어 차용어에서 유래했다.[167][168][169] ''프네우마''처럼, 두 용어는 호흡, 생명력, 영혼을 의미한다.[167][168][169] 고대 영어 용어는 다른 게르만어 (예: 독일어 ''가이스트'' 비교)와 비슷하지만 더 오래되었고, 킹 제임스 성경에서는 두 용어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했다. 20세기의 성경 번역들은 "성령"을 압도적으로 선호한다. 일반적인 영어 용어 "유령"(ghost)은 점점 더 죽은 사람의 정신만을 언급하게 되었다.[167][168][169]

신약성경에서 성령을 나타내는 표현은 다음과 같다.

  • πνεύματος ἁγίου (Pneumatos Hagiou) - 성령 (마태오 복음서 1:18)[177]
  • πνεύματι θεοῦ (Pneumati Theou) - 하느님의 영 (마태오 복음서 12:28)[178]
  • ὁ παράκλητος (Ho Paraclētos) - 위로자, 참조 파라클레토스 (요한 복음서 14:26) (요한 복음서 16:7)[179]
  • πνεμμα τῆς ἀληθείας (Pneuma tēs Alētheias) - 진리의 영 (요한 복음서 16:13)[180]
  • Πνεῦμα Χριστοῦ (Pneuma Christou) - 그리스도의 영 (베드로전서 1:11)[181]
  • πνεμμα (Pneuma) - 영 (요한 복음서 3:8)[182]
  • Πνεύματος (Pneumatos) - 영 (요한 복음서 3:8)


아버지, 아들 하느님 ( 예수)과 함께 하느님 성령으로 구성된 삼위일체를 묘사한 것

3. 성경 속의 성령

히브리 성경과 신약성경 모두에서 성령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히브리 성경에서 성령은 "하나님의 영", "엘로힘의 영" 등으로 불리며, 탈무드와 미드라쉬에서는 "성령"(''루아흐 하코데쉬'')이라고 불린다. 시편이사야서에도 "성령"이라는 표현이 등장하지만, 랍비 문학에서 부여된 의미와는 약간 다르다.[30][31] 창세기 1장 2절에서는 하나님의 영이 생명이 없는 물질 위에 맴돌며 창조를 가능하게 했다고 묘사된다.[30][31]

신약성경에서 성령은 예수의 생애와 사역, 그리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관복음서에서는 세례자 요한이 예수가 성령으로 세례를 줄 것이라고 예언하고, 예수의 세례 때 성령이 비둘기처럼 내려오는 장면이 묘사된다. 마르코 복음서와 마태오 복음서는 성령이 예수의 제자들을 통해 말할 것이라고 언급한다.[40][41]

사도행전은 "성령의 책"이라고 불릴 정도로 성령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사도행전에서 성령은 초기 기독교의 "생명 원리"로 제시되며, 신자들에게 성령이 부어지는 여러 사례가 기록되어 있다.

요한복음에서는 ''성령'', ''진리의 영'', ''보혜사''라는 세 가지 용어가 사용되며, 성령이 예수를 증거하고 제자들을 가르칠 것이라고 말한다. 사도 바울의 서신에서도 성령은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그리스도인들이 성령을 통해 하나님과 관계를 맺고 그리스도를 따르게 된다고 설명한다.

3. 1. 구약성경

히브리 성경에서 "하나님의 영"과 "엘로힘의 영"이라고 불리는 것은 탈무드와 미드라쉬에서 "성령"(''루아흐 하코데쉬'')이라고 불린다. "성령"이라는 표현이 시편 51:11과 이사야서 63:10-11에 나오기는 하지만, 랍비 문학에서 부여된 것과 정확히 같은 의미를 아직 얻지 못했다.[30][31] 후자에서 "성령"은 "주의 영"이라는 표현과 같다. 창세기 1:2에서 하나님의 영은 생명이 없는 물질의 형상 위에 맴돌면서 창조를 가능하게 했다.[30][31] ''루아흐 하코데쉬''는 하나님 대신에 언급될 수 있지만, 그것은 구별되는 어떤 것으로 여겨졌고, 하늘에서 온 모든 지상의 것과 마찬가지로 ''루아흐 하코데쉬''는 빛과 로 구성되었다.[31]

''루아흐 하코데쉬''의 임재의 가장 특징적인 징표는 예언의 은사이다. "루아흐"(히브리어: "숨" 또는 "바람")라는 단어가 ''루아흐 하코데쉬''라는 구절에서 사용된 것은 유대교 당국이 성령을 바람과 같은 일종의 의사 소통 매체로 믿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듯하다. 그 영은 때로는 남성적인 목소리로, 때로는 여성적인 목소리로 말한다. ''루아흐''라는 단어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 해당한다.[31]

다음은 관련된 구절을 히브리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으로 제시한 것이다.

히브리어 원문한국어 번역구절
וְר֣וּחַ קָדְשׁ֑וֹ (rûaḥ qodšô|루아흐 코드쇼he)그의 거룩한 영이사야서 63:10[18]
וְר֣וּחַ קָ֝דְשְׁךָ֗ (rûaḥ qodšəkā|루아흐 코드셰카he)당신의 거룩한 영시편 51:11[19]
וְר֣וּחַ אֱלֹהִ֔ים (rûaḥ ĕlōhîm|루아흐 엘로힘he)하나님의 영창세기 1:2[20]
נִשְׁמַת־ר֨וּחַ חַיִּ֜ים (nišmat-rûaḥ ḥayyîm|니슈마트 루아흐 하임he)생명의 영의 호흡창세기 7:22[21]
ר֣וּחַ יְהוָ֑ה (rûaḥ YHWH|루아흐 야훼he)여호와의 영이사야서 11:2[22]
ר֧וּחַ חָכְמָ֣ה וּבִינָ֗ (rûaḥ ḥokmâ ûbînâ|루아흐 호크마 우비나he)지혜와 깨달음의 영이사야서 11:2[22]
ר֤וּחַ עֵצָה֙ וּגְבוּרָ֔ה (rûaḥ ʿēṣâ ûgəbûra|루아흐 에차 우게부라he)지혜와 능력의 영이사야서 11:2[22]
ר֥וּחַ דַּ֖עַת וְיִרְאַ֥ת יְהוָֽה (rûaḥ daʿat wəyīrəʾat YHWH|루아흐 다아트 웨이르아트 야훼he)지식의 영[23] 과 여호와를 경외하는 영이사야서 11:2[22]


3. 2. 신약성경

코이네 헬라어 ''pneûma'' ( πνεῦμα|프네우마grc )는 신약성경에서 약 385번 발견되며, 학자에 따라 3~9번의 차이를 보인다.[166] ''Pneuma''는 정경 복음서에 105번, 사도행전에 69번, 바울 서신에 161번, 그 외에 50번 나타난다.[166] 이 용어는 133건의 경우 일반적인 의미의 "정신", 153건은 "영적"을 의미하며, 약 93번은 성령을 언급한다.[166] 때때로 ''pneuma''라는 이름으로, 때로는 명시적으로 ''pneûma tò Hagion'' ( Πνεῦμα τὸ Ἅγιον|프뉴마 토 하기온grc )으로 나타난다.[166] 경우에 따라 단순히 ''바람''이나 ''삶''을 의미하기도 한다.[166] 불가타 성경에서는 ''Spiritus''(영) 및 ''Spiritus Sanctusla|성령)''으로 번역되었다.

영어 단어 "Holy Ghost"(성신)와 "Holy Spirit"(성령)는 완전한 동의어이다. 하나는 고대 영어 ''가스트''에서, 다른 하나는 라틴어 ''Spiritus|스피리투스la''에서 유래했다.[167][168][169] ''프뉴마''처럼 두 용어 모두 호흡, 생명력, 영혼을 의미한다. 고대 영어 용어는 다른 게르만어(예: 독일어 ''가이스트'')와 비슷하지만 더 오래되었고, 킹 제임스 성경은 두 용어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했다. 20세기 성경 번역들은 "성령"을 압도적으로 선호한다. 일반적인 영어 단어 "Ghost"(유령)는 점점 더 죽은 사람의 정신만을 의미하게 되었다.[167][168][169]

신약성경에서 성령을 나타내는 표현은 다음과 같다:

표현의미구절
πνεύματος ἁγίου (Pneumatos Hagiou)성령마태 1:18[177]
πνεύματι θεοῦ (Pneumati Theou)하느님의 영마태 12:28[178]
ὁ παράκλητος (Ho Paraclētos)중보자요한 16:7[179]
πνεμμα τῆς ἀληθείας (Pneuma tēs Alētheias)진리의 영요한 16:13[180]
Πνεῦμα Χριστοῦ (Pneuma Christou)그리스도의 영벧전 1:11[181]
πνεμμα (Pneuma)성령요한 3:8[182]
Πνεύματος (Pneumatos)성령요한 3:8



기독교에서 성령의 신성함은 세 공관복음서 모두에서 확증되며, 성령을 거스르는 모독은 용서받지 못할 죄라고 선언된다.[33][34] 성령의 삼위일체 참여는 예수의 부활 이후 마태복음 28장 19절에서 제자들에게 주신 지시에서 암시된다.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10]



신약성경은 예수의 지상 생애와 사역 동안 성령과 예수 사이의 긴밀한 관계를 보여준다.[71] 사도신경은 누가복음과 마태복음을 반영하여 예수가 성령으로 잉태되어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태어났다고 말한다.[72]

예수의 지상 생애 동안 예수와 성령의 상호 작용 및 그의 사역 동안 성령의 능력은 다음과 같다:[71][72][73]

  • 요한복음 3:34에서 예수에게 주어진 "한량없는 성령"은 예수의 말씀(레마)이 하나님의 말씀임을 나타낸다.[74]
  • 예수의 세례 (마태복음 3:13–17,[75] 마가복음 1:9–11,[76] 누가복음 3:21–23[77])에서 성령이 비둘기처럼 그에게 내려왔다.
  • 예수의 유혹 (마태복음 4:1[78])에서 성령은 예수를 광야로 인도했다.
  • 눈 멀고 벙어리 된 사람을 고침 기적에서 성령이 귀신을 쫓아냈다.[79]
  • 70인의 제자가 예수에 의해 파견된 누가복음 10:21에서 성령 안에서 기뻐했다.[80]
  • 사도행전 1:2는 예수께서 죽으시고 부활하실 때까지 "성령으로 말미암아 사도들에게 명하셨다"고 진술한다.[44]
  • 히브리서 9:14는 십자가에 못 박히신 예수의 희생을 언급하면서 예수께서 "영원하신 성령으로 말미암아 흠 없는 자기를 하느님께 드렸다"고 진술한다.[81]


고별 설교에서 예수는 제자들에게 떠난 후 "성령을 보내겠다"고 약속했고, 요한복음 15:26에서 "내가 아버지께로서 너희에게 보낼 보혜사 곧 아버지께로서 나오시는 진리의 성령이 ... 나를 증거하실 것이요"라고 말했다.[54][82][83]

3. 2. 1. 공관복음

공관복음서에는 성령에 대한 언급이 세 번 나온다. 루카 복음서에서 성령에 대한 언급이 많이 나오며, 이러한 강조는 사도행전에서도 이어진다.

성령은 예수의 부활 이후 오순절에 처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예수의 탄생 이전의 루카 복음서 (1장과 2장)에 나타난다.[32] 세례자 요한은 태어나기 전 "성령으로 충만하게 되었고"(루카 1:15),[36] 성모 마리아에게는 성령이 임하였다(루카 1:35).[37][32] 이후 세례자 요한은 예수가 물이 아닌 성령으로 세례를 줄 것이라고 말했으며(루카 3:16),[38] 성령은 세례 동안 요르단 강에서 예수에게 내려왔다.[32] 예수는 아버지가 "구하는 자에게 성령을 주시지 않겠느냐"고 확신했다(루카 11:13).[39][32]

마르코 복음서 13:11은 필요할 때 성령의 능력이 예수의 제자들을 통해 작용하고 말하도록 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무슨 말을 할까 미리 염려하지 말라. 그 때에 너희에게 주시는 대로 말하라. 말하는 이는 너희가 아니라 성령이시니라."[40] 마태오 복음서 10:20[41]은 제자들을 통해 말하는 동일한 행위를 언급하지만, "너희 아버지의 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42]

성령이 비둘기 모습으로 나타난 필리프 드 샹파뉴의 《수태고지》, 1644

3. 2. 2. 사도행전

사도행전은 때때로 "성령의 책" 또는 "성령의 행전"이라고 불린다.[50][43] 사도행전에 나오는 '프뉴마'(Pneuma)라는 단어 70여 번 중 55번은 성령을 지칭한다.[43]

사도행전 1장 2절[44]에서부터 독자는 예수의 지상 사역이 성령의 능력으로 수행되었으며, "사도들의 행전"은 예수의 행적을 이어받아 성령에 의해 진행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43] 사도행전은 성령을 초기 기독교의 "생명 원리"로 제시하며, 사도행전 2:1–4,[45] 4:28–31,[46] 8:15–17,[47] 10:44,[48] 및 19:6[49][50]에서 신자들에게 성령이 부어지는 다섯 번의 극적인 사례를 보여준다.

사도행전 전반에 걸쳐 성령에 대한 언급이 나타나는데, 예를 들어 사도행전 1:5, 8[51]은 시작 부분에서 "요한은 물로 세례를 베풀었지만, 너희는 성령으로 세례를 받을 것이다....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는 권능을 받으리라"고 언급하며, 세례 요한의 예언이 누가복음 3:16[38]에서 "그는 너희에게 성령으로 세례를 베풀 것이다"라고 성취되었음을 나타낸다.[52]

3. 2. 3. 요한복음

요한복음서에서는 ''성령'', ''진리의 영'', ''보혜사''라는 세 가지 용어가 사용된다.[8] 요한복음 14장 17절,[53] 15장 26절,[54] 16장 13절[55]에는 "진리의 영"이 언급된다. 요한 1서 4장 6절에서는 "진리의 영"과 대조되는 "미혹의 영"이 언급된다.[56][32] 요한 1서 4장 1-6절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육체로 오신 것을 시인하는 영은 하느님께 속한 것"과 이를 거부하는 영은 오류에 빠진 영(악령)이라고 구분한다.[57]

요한복음 14장 26절에서[58] 예수는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 곧 보혜사가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실 것이다"라고 말한다. 신학자들은 "보혜사"의 정체성에 대해 다양한 이론을 제시하며 논쟁을 벌여왔다.[59]

3. 2. 4. 바울 서신

사도 바울의 성령론은 그의 신학과 그리스도론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거의 분리될 수 없을 정도로, 바울 서신에서 성령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7]

바울의 서신 중 가장 먼저 쓰여진 것으로 보이는 데살로니가전서는 데살로니가전서 1:6[60]과 데살로니가전서 4:8[61]에서 성령에 대한 특징을 소개하는데, 이는 그의 서신 전체에서 발견된다.[62] 데살로니가전서 1:6에서 바울은 그리스도 따라가기(그리고 자신)에 대해 언급하며, "너희가 많은 환난 가운데서 성령의 기쁨으로 말씀을 받아 우리와 주를 본받는 자가 되었으니"라고 말하는데, 그 근원은 데살로니가전서 4:8에서 "너희에게 그의 성령을 주시는 하나님"으로 밝혀진다.[62][63][64]

성령을 "그리스도처럼" 받는다는 이 두 가지 주제와 하나님이 성령의 근원이라는 점은 바울 서신에서 그리스도인과 하나님의 관계를 특징짓는 것으로 지속된다.[62] 바울에게 있어서 ''그리스도 따라가기''는 성령에 의해 형성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로마서 8:4, 8:11은 다음과 같다. "곧 육신을 따르지 않고 그 영을 따라 행하는 우리에게 율법의 요구가 이루어지게 하려 함이니라...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의 영이 너희 안에 거하시면 그리스도 예수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가 너희 안에 거하시는 그의 영으로 말미암아 너희 죽을 몸도 살리시리라."[63][65]

데살로니가전서는 또한 데살로니가전서 1:5[66]에서 성령의 권능에 대해 언급하며, 이는 다른 바울 서신에서도 나타나는 주제이다.[67]

4. 주요 교리

"Veni Creator Spiritus"(오 창조주 영이시여, 오소서)와 같은 기독교 찬송가는 초기 기독교에서부터 내려오는 성령에 대한 믿음을 반영한다.[84]

성경에서 성령의 능력으로 예수는 성모 마리아의 태 안에서 잉태되었고, 처녀성을 유지하였다.[88] 성령은 예수의 세례 때 비둘기의 모습으로 예수 위에 내려왔고, 하늘에서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가 기뻐하는 자라."라는 소리가 들렸다.[89][90] 성령은 성화자, 돕는 자,[91] 위로자이며,[92] 은혜를 주시는 분이며, 사람들을 아버지와 아들에게로 인도하는 분이다.[84]

성령은 신자들에게 영감을 불어넣고 성경을 해석할 수 있게 하며, 구약성경신약성경의 예언자들을 인도하는 것으로 여겨진다.[93] 기독교인들은 성령의 자비와 은혜를 통해 성령의 열매를 받는다.[94]

4. 1. 삼위일체론

성령론 (기독교)도 참고하십시오.

성령에 대한 신학은 성령론이라고 불립니다. 성령은 니케아 신조에서 주님과 생명을 주시는 분으로 언급됩니다.[84] 그는 우주 창조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그의 능력으로 모든 것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 아버지에 의해 만들어진 창조주 영입니다.[84]

초기 기독교에서 구원의 개념은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에 대한 간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으며,[11][12] 1세기부터 기독교인들은 기도, 세례, 성찬, 축귀, 찬송가, 설교, 고백, 사죄, 축복에서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이라는 이름으로 하나님을 불렀습니다.[11][12]

대부분의 기독교 교단에게 성령은 성 삼위일체 - 아버지, 아들, 성령 - 의 세 번째 위격이며, 전능하신 하나님이십니다.[2][3][85] 이처럼 성령은 인격적이며 또한 완전한 하나님이시며, 하나님 아버지 및 하나님의 아들과 동등하고 영원하십니다.[2][3][85] 성령은 아버지와 아들과 구별되는데, 성령은 니케아 신조에 묘사된 바와 같이 아버지로부터 (그리고 로마 가톨릭교회, 구 가톨릭교회, 루터교, 성공회, 및 기타 개신교에 따르면, 아버지와 아들로부터) ''나옵니다''.[3] 삼위일체 하나님은 따라서 하나의 신적 존재 (그리스어: Ousia) 안에서 세 개의 ''위격''(그리스어 ''휘포스타시스'')으로 나타납니다.[86][4]

기독교의 삼위일체 교리는 성자 하나님과 성부 하나님과 함께 하나님, 성령의 개념을 포함합니다.[95][96] 신학자 블라디미르 로스키는 성육신의 행위에서 ''성자 하나님''은 하나님의 아들로 나타났지만, ''하나님, 성령''의 경우에는 드러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97] 그러나 고린도전서 6:19에서[98]와 같이, 성령 하나님은 계속해서 신자 안에 거하십니다.[96]

천상의 삼위일체에서 비둘기로 묘사된 성령, 아들의 성육신을 통해 성가족과 결합, 무리요의 ''천상의 삼위일체와 지상의 삼위일체''


기독교 신학에서 성령은 기독교인이나 교회의 삶에서 특정한 신성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믿어집니다. 성령의 활동은 그 사람을 기독교 신앙으로 인도하는 데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겨집니다.[100] 새로운 신자는 "성령으로 거듭난다".[101] 성령은 개별 신자 안에 거하심으로써 기독교인의 삶을 가능하게 하며, 그들이 의롭고 충실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합니다.[100] 성령은 또한 위로자 또는 파라클레토스, 즉 중재자, 지지자 또는 옹호자로서 특히 시련의 시기에 활동합니다. 그리고 그는 구원받지 못한 사람이 자신의 행동이 죄라는 것과 하나님 앞에서 죄인으로서의 도덕적 입장을 깨닫도록 활동합니다.[102] 성령의 또 다른 능력은 성경의 영감과 해석입니다. 성령은 성경을 기록하도록 ''영감을 불어넣고'' 기독교인과 교회에 그것을 ''해석합니다''.[103]

4. 2. 성령의 발현 (Procession)

요한복음 15장 26절에서 예수는 성령에 관해 "내가 아버지께로부터 너희에게 보낼 보혜사 곧 아버지께로부터 나오시는 진리의 성령이 오실 때에 그가 나를 증언하실 것이요."라고 말하였다.[104] 325년, 최초의 에큐메니컬 공의회인 니케아 공의회니케아 신경의 마지막을 "성령을 믿사오며"로 마쳤다. 381년, 두 번째 에큐메니컬 공의회인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신경을 확장하여 성령이 "아버지로부터 나오시며"라고 진술했다. 이 구절은 요한복음 15장 26절에 근거했다. 451년, 네 번째 에큐메니컬 공의회인 칼케돈 공의회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확정했다. 같은 시기에 성령의 발현에 대한 질문은 다양한 기독교 신학자들에 의해 다루어졌으며, 각기 다른 견해를 표명하고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하면서 필리오케 조항에 초점을 맞춘 논쟁을 시작했다.

589년, 톨레도 공의회는 세 번째 규칙에서 성령이 아버지와 아들로부터 발현한다는 교리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였다. 다음 몇 세기 동안, 동방과 서방의 두 가지 뚜렷한 사상이 점차 형성되었다. 동방 신학자들은 성령이 오직 아버지로부터 발현한다고 가르친 반면, 서방 신학자들은 성령이 아버지와 아들로부터 발현한다고 가르쳤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포티오스 1세는 그의 저서 ''성령의 신비''에서 동방의 입장을 제시했다. 양측 간의 논쟁은 기독교 성령론 내의 중요한 차이점이었으며, 1054년의 동서 교회 분열을 초래하는 데 역사적인 역할을 했다.

4. 3. 성령의 은사와 열매

성령의 열매[105]는 성령의 작용으로 그리스도인에게서 생겨나는 덕스러운 특징이다.[106] 갈라디아서 5:22-23절은 아홉 가지 측면을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106]

오직 성령의 열매는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 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니 이 같은 것을 금지할 법이 없느니라[107]


갈라디아서에서 이 아홉 가지 특징은 "육체의 일"과 대조되며, 믿는 자 안에서 성령의 역사가 긍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강조한다.[106]

성령의 은사[105]는 성령의 열매와 구별되며, 개별 그리스도인에게 부여된 구체적인 능력으로 구성된다.[100] 이는 종종 은사를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인 ''카리스마''로 알려져 있으며, 영어에서는 은사로 사용되며, 여기서 카리스마적이라는 용어가 파생되었다. 은사에 대한 일반적으로 합의된 완전한 목록은 없으며, 다양한 기독교 교단에서는 고린도전서[108], 로마서 12[109], 에베소서 4[110][114]를 자주 참고하여 서로 다른 목록을 사용한다. 오순절주의 교단과 카리스마 운동은 초자연적인 은사가 없는 것은 주류 교단에서 성령과 그분의 사역을 소홀히 한 탓이라고 가르친다.[114] 초자연적인 은사의 중요성을 믿는 사람들은 때때로 그리스도인이 그러한 은사를 받기 위해 경험해야 하는 ''성령 세례'' 또는 ''성령 충만''에 대해 이야기한다.[111] 그러나 많은 기독교 교단은 성령 세례가 회심과 동일하며 모든 그리스도인은 정의상 성령 안에서 세례를 받는다고 주장한다.

성령의 칠은[105]세례를 받을 때 신자에게 부어진다고 하며, 전통적으로 이사야서 11:1-2절에서 유래한다.[112] 그러나 신약 성경에서는 이 은사에 관해 이사야 11:1-2절을 언급하지 않는다.[114][113] 로마 가톨릭교회[105][113] 및 기타 많은 주류 기독교 단체의 견해에 따르면,[114] 7가지 은사는 다음과 같다. 지혜, 깨달음, 충고, 굳건함 (강인함), 지식, 경건, 주님을 경외함.[114]

5. 기타

성령은 기독교 교리와 성경에서 은유와 상징으로 자주 언급된다. 이러한 상징은 신학적으로 성령과 그 행위를 이해하는 열쇠이며, 단순한 예술적 표현 이상이다.[85][131]


  • : 세례에서의 성령의 행위를 의미하며, 생명수이기도 하다.[132][133][131][134] ''가톨릭교회 교리서'' 1137항에서는 요한 계시록에 나오는 생명수에 대한 언급[135]을 "성령의 가장 아름다운 상징 중 하나"로 간주한다.[136]
  • 기름 부음: 기름으로 축복하는 상징은 성령의 동의어가 될 정도로 성령을 의미한다. 견진성사에서 기름 부음을 시행하기도 한다.[137] "그리스도"라는 칭호는 "기름 부음 받은 자"를 의미한다.[131][134]
  • : 성령의 행위가 지닌 변화시키는 에너지를 상징한다. 오순절에 성령은 "불의 혀" 형태로 제자들에게 임하였다.[131][134]
  • 구름과 빛: 성령은 동정녀 마리아에게 임하여 예수를 잉태하게 하였고, 변모산에서 구름 속에 임하여 예수와 제자들을 덮었다.[134][138]
  • 비둘기: 예수가 세례를 받을 때 성령은 비둘기 형상으로 그에게 내려왔다.[131][134][139]
  • 바람: 성령은 "원하는 대로 부는 바람"에 비유되며, "거센 바람 소리 같은 하늘로부터의 소리"로 묘사된다.[140][141][131]


기독교 미술에서 성령은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묘사되어 왔다.[142][143][144] 삼위일체를 나타내는 동일한 형상부터 비둘기, 불꽃 등 다양한 상징이 사용된다.

예수가 요르단강에서 세례를 받을 때 비둘기처럼 성령이 내려왔다는 기록에 따라, 수태고지와 같은 그림에서 성령은 종종 비둘기로 묘사된다.[145] 사도행전에서는 성령이 오순절에 바람과 불의 혀 형태로 사도들 위에 내려오는 모습이 묘사되어, 성령은 때때로 불꽃으로 상징되기도 한다.[146]

고대 켈트 기독교 신자들은 성령을 '야생 거위'를 의미하는 '아 게아드-글라스(Ah Geadh-Glas)'라고 불리는 거위로 묘사했다.[147]

5. 1. 예술과 상징

성령은 교리적, 성경적으로 은유와 상징으로 자주 언급된다. 신학적으로 이러한 상징은 성령과 그 행위를 이해하는 열쇠이며 단순한 예술적 표현이 아니다.[85][131]

  • - 세례에서의 성령의 행위를 의미하며, "한 성령으로 [신자]가 다 세례를 받았다"는 것처럼, 그들은 "한 성령을 마시게 되었다".[132] 따라서 성령은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133]로부터 샘솟아 그리스도인 안에서 영생으로 솟아나는 생명수이기도 하다.[131][134] ''가톨릭교회 교리서'' 1137항에서는 요한 계시록에 나오는 생명수에 대한 언급[135]을 "성령의 가장 아름다운 상징 중 하나"로 간주한다.[136]
  • 기름 부음 - 기름으로 축복하는 상징 역시 성령을 의미하며, 심지어 성령의 동의어가 되었다. 성령의 임재는 그의 "기름 부음"으로 언급된다.[137] 일부 교파에서는 견진성사(동방 교회에서는 "성유 축성")에서 기름 부음을 시행한다. 그 완전한 힘은 성령에 의해 성취된 예수의 근본적인 기름 부음과 관련해서만 파악할 수 있다. "그리스도"라는 칭호(히브리어로는 ''메시아'')는 하나님의 성령에 의해 "기름 부음 받은 자"를 의미한다.[131][134]
  • - 성령의 행위의 변화시키는 에너지를 상징한다. "불의 혀"의 형태로 성령은 오순절 아침에 제자들에게 임하였다.[131][134]
  • 구름과 빛 - 성령은 동정녀 마리아에게 임하여 그녀를 "덮어" 예수를 잉태하고 낳게 하셨다. 변모산에서 성령은 "구름 속에 임하여" 예수, 모세, 엘리야, 베드로, 야고보, 요한을 덮었고, "구름 속에서 소리가 나서 이르되 이는 내 아들 곧 내가 택한 자니 너희는 그의 말을 들으라"고 하였다.[134][138]
  • 비둘기 - 그리스도께서 세례의 물에서 올라오실 때 성령은 비둘기의 형상으로 그에게 내려와 그와 함께 머물렀다.[131][134][139]
  • 바람 - 성령은 "원하는 대로 부는 바람"[140]에 비유되며, "거센 바람 소리 같은 하늘로부터의 소리"로 묘사된다.[141][131]


'''미술'''

루벤스의 1628년 작품 수태고지에서 성령은 비둘기로 묘사됨


성령은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 모두에서 다양한 묘사 방식을 사용하여 기독교 미술에 표현되어 왔다.[142][143][144] 이러한 묘사는 삼위일체의 세 위격을 나타내는 거의 동일한 형상에서부터 비둘기, 불꽃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성령은 종종 비둘기로 묘사되는데, 이는 예수가 요르단강에서 세례를 받을 때 성령이 비둘기처럼 그에게 내려왔다는 기록에 근거한다.[145] 수태고지의 많은 그림에서 성령은 비둘기의 형태로 묘사되어, 대천사 가브리엘이 예수의 탄생을 마리아에게 알릴 때 빛줄기를 타고 마리아에게 내려온다. 비둘기는 또한 그의 비서가 기록한 바와 같이, 대 그레고리오나 다른 교부들의 귀에 나타나 그들에게 그들의 작품을 받아쓰게 하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이 비둘기는 또한 대홍수 이후 평화의 상징으로 올리브 가지를 노아에게 가져다 준 비둘기와도 유사하다.[145]

사도행전에는 성령이 오순절에 바람과 불의 혀의 형태로 사도들 위에 내려오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이러한 기록을 바탕으로 성령은 때때로 불꽃으로 상징된다.[146]

고대 켈트 기독교 신자들은 성령을 아 게아드-글라스(Ah Geadh-Glas)라고 불리는 거위로 묘사했는데, 이는 '야생 거위'를 의미한다.[147] 거위는 전통적인 비둘기보다 거위가 더 자유로운 존재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148][149]

참조

[1] 서적 The Trinity: Jesus could not be God because God said I am not a man. 1 Samuel 15:29 And also the Glory of Israel will not lie or have regret, for he is not a man, that he should have reqret. An Introduction to Catholic Doctrine on the Triune God https://books.googl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 서적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Baker Book House
[3] 서적 In Understanding be Men: A Handbook of Christian Doctrine Inter-Varsity Press
[4] 서적 Systematic Theology: An Introduction to Biblical Doctrine Inter-Varsity Press; Grand Rapids, Michigan: Zondervan
[5]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IntraText https://www.vatican.[...] 2024-03-29
[6] 웹사이트 Hebrew names for God http://www.hebrew4ch[...]
[7] 서적 The Power of God in Paul's Letters
[8] 서적 Spirit of Truth: The origins of Johannine pneumatology
[9] 문서 Matthew 28:19 https://s:Bible (Ame[...]
[10] 서적 Lord, giver of life
[11] 서적 Invocation and Assent: The Making and the Remaking of Trinitarian Theology. Wm. B. Eerdmans Publishing
[1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Trinity
[13] 백과사전 Pentecost https://www.britanni[...] 2017-06-03
[14] 서적 Companion Bible – KJV Kregel Publications
[15] 서적 Foreword to the English translation of Karl Barth's The Holy Spirit and the Christian Life
[16] 서적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Baker Academic
[17] 뉴스 Norfolk schools told Holy Ghost 'too spooky' http://education.gua[...] The Guardian 2010-05-04
[18] 웹사이트 Isaiah 63:10 Hebrew Text Analysis https://biblehub.com[...] 2024-03-29
[19] 웹사이트 Psalm 51:11 Hebrew Text Analysis https://biblehub.com[...] 2024-03-29
[20] 웹사이트 Genesis 1:2 Hebrew Text Analysis https://biblehub.com[...] 2024-03-29
[21] 웹사이트 Genesis 7:22 Hebrew Text Analysis https://biblehub.com[...] 2024-03-29
[22] 웹사이트 Isaiah 11:2 Hebrew Text Analysis https://biblehub.com[...] 2024-03-29
[23] 웹사이트 Strong's Hebrew: 1847. דָּ֫עַת (daath) – knowledge https://biblehub.com[...] 2019-01-04
[24] 웹사이트 Matthew 1:18 Greek Text Analysis https://biblehub.com[...] 2020-08-10
[25] 웹사이트 Matthew 12:28 Greek Text Analysis https://biblehub.com[...] 2020-08-10
[26] 웹사이트 John 16:7 Greek Text Analysis https://biblehub.com[...] 2020-08-10
[27] 웹사이트 John 16:13 Greek Text Analysis https://biblehub.com[...] 2020-08-10
[28] 웹사이트 1 Peter 1:11 Greek Text Analysis https://biblehub.com[...] 2020-08-10
[29] 웹사이트 'John 3:8 Interlinear: the Spirit where he willeth doth blow, and his voice thou dost hear, but thou hast not known whence he cometh, and whither he goeth; thus is every one who hath been born of the Spirit.' https://biblehub.com[...] 2020-08-10
[30] 간행물 Ruaḥ 'Elohim in Genesis 1:2 in Light of Phoenician Cosmogonies: A Tradition's History https://www.academia[...] Journal of Northwest Semitic Languages
[31] 웹사이트 Holy Spirit http://www.jewishenc[...] 2020-08-10
[32] 서적 Acts and Pauline writings
[33] 문서 Matthew 12:30–32, Mark 3:28–30 and Luke 12:8–10 https://s:Bible (Ame[...]
[34] 서적 Jesus and the Gospels: An Introduction and Survey
[35]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Matthew 28:19 – English Standard Version https://www.biblegat[...] 2020-08-10
[36] 성경 Luke 1:15 https://en.wikisourc[...]
[37] 성경 Luke 1:35 https://en.wikisourc[...]
[38] 성경 Luke 3:16 https://en.wikisourc[...]
[39] 성경 Luke 11:13 https://en.wikisourc[...]
[40] 성경 Mark 13:11 https://en.wikisourc[...]
[41] 성경 Matthew 10:20 https://en.wikisourc[...]
[42] 서적 The Gospel of Luke 1992
[43] 서적 A Bible Handbook to the Acts of the Apostles 2004
[44] 성경 Acts 1:2 https://en.wikisourc[...]
[45] 성경 Acts 2:1–4 https://en.wikisourc[...]
[46] 성경 Acts 4:28–31 https://en.wikisourc[...]
[47] 성경 Acts 8:15–17 https://en.wikisourc[...]
[48] 성경 Acts 10:44 https://en.wikisourc[...]
[49] 성경 Acts 19:6 https://en.wikisourc[...]
[50] 서적 The Acts of the Apostles 1992
[51] 성경 Acts 1:5 and 8 https://en.wikisourc[...]
[52] 서적 Reading Acts: A Literary and Theological Commentary on the Acts of the Apostles 2005
[53] 성경 John 14:17 https://en.wikisourc[...]
[54] 성경 John 15:26 https://en.wikisourc[...]
[55] 성경 John 16:13 https://en.wikisourc[...]
[56] 성경 1 John 4:6 https://en.wikisourc[...]
[57] 서적 1, 2, and 3 John 2002
[58] 성경 John 14:26 https://en.wikisourc[...]
[59] 서적 The anointed community: the Holy Spirit in the Johannine tradition 1987
[60] 성경 1:6 https://en.wikisourc[...]
[61] 성경 4:8 https://en.wikisourc[...]
[62] 서적 Theology of Paul the Apostle 2003
[63] 서적 A Concise Dictionary of Theology 2004
[64] 서적 Holy People of the World: A Cross-Cultural Encyclopedia, Volume 3 2004
[65] 성경 Romans 8:4 https://en.wikisourc[...]
[66] 성경 1:5 https://en.wikisourc[...]
[67] 서적 1 & 2 Thessalonians 1996
[68] 성경 Matthew 1:18 and Luke 1:34 –35 null
[69] 서적 Mercer Dictionary of the Bible Mercer University Press 1990
[70] 웹사이트 Gospel of Philip http://www.gnosis.or[...] 1996
[71] 서적 Jesus in Trinitarian Perspective: An Introductory Christology
[72] 서적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Baker Book House
[73] 서적 Dogmatics in Outline https://archive.org/[...] New York Philosophical Library
[74]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75] 성경 Matthew 3:13–17
[76] 성경 Mark 1:9–11
[77] 성경 Luke 3:21–23
[78] 성경 Matthew 4:1
[79] 성경 Matthew 12:28
[80] 성경 Luke 10:21
[81] 성경 Hebrews 9:14
[82] 서적 John
[83] 서적 The Gospel of John: Question by Question
[84]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Christian Doctrine
[8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oly Spirit http://www.newadvent[...]
[86] 간행물 Person
[87] 간행물 CCC https://www.vatican.[...]
[88]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Luke 1:35 – English Standard Version https://www.biblegat[...] 2020-08-10
[89] 뉴스 Jesus Goes Public America 2008-01-07
[90] 성경 Mt 3:17 Mk 1:11 Lk 3:21–22
[91]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John 15:26 – English Standard Version https://www.biblegat[...] 2020-08-10
[92]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John 14:16 – English Standard Version https://www.biblegat[...] 2020-08-10
[93] 서적 Theology for the Community of God
[94] 서적 Baptism in the Early Church: History, Theology, and Liturgy in the First Five Centuries
[95] 서적 Systematic Theology
[96] 서적 The Wiersbe Bible Commentary: The Complete New Testament
[97] 서적 The mystery of the Triune God
[98] 성경 1 Corinthians 6:19
[99] 웹사이트 'De Trinitate', Book V, chapter 8 http://www.newadvent[...]
[100] 서적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Baker Book House
[101] 문서 Though the term "Born again (Christianity)|born again" is most frequently used by evangelical Christians, most denominations do consider that the new Christian is a "new creation" and "born again". See for example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102] 서적 The Holy Spirit and His Gifts Inter-Varsity Press
[103] 서적 In Understanding be Men: A Handbook of Christian Doctrine Inter-Varsity Press
[104] 성경 John 15:26
[105]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IntraText https://www.vatican.[...] 2024-03-29
[106] 서적 "The Epistle to the Galatians"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New Testament) Wm. B. Eerdmans Publishing
[107] 성경 Galatians 5:22–23
[108] 성경 1 Corinthians 12
[109] 성경 12
[110] 성경 Ephesians 4
[111] 서적 I talk back to the devil OM Pub
[112] 성경 11:1–2
[113] 서적 Our Sunday Visitor's Catholic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Our Sunday Visitor Publishing
[114] 서적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https://books.google[...] Baker Publishing Group
[115] 서적 The Petrine ministry. Catholics and Orthodox in Dialogue: Academic Symposium Neld at the Pontifical Council for Promoting Christian Unity Paulist Press
[116] 서적 The Ecumenical Movement: An Anthology of Key Texts and Voices Wm. B. Eerdmans Publishing
[117] 서적 "The Holy Spirit: Classic and Contemporary Readings" Wiley
[118] 서적 "Introduction to Theology"
[119] 서적 One in the Spirit Hodder and Stoughton
[120]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121]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122] 간행물 Is the Holy Spirit a Person? http://wol.jw.org/en[...] 2006-07
[123] 간행물 Doctrines to be rejected http://www.christade[...]
[124] 웹사이트 Doctrine and Covenants 130 https://www.churchof[...] 2020-08-10
[125] 웹사이트 Gospel Topics: Holy Ghost https://www.churchof[...]
[126] 웹사이트 "True to the Faith", p. 81. https://www.churchof[...]
[127] 웹사이트 For Youth https://www.churchof[...] 2020-08-10
[128] 웹사이트 Doctrine and Covenants 93 https://www.churchof[...] 2020-08-10
[129] 웹사이트 Holy Ghost – the Encyclopedia of Mormonism https://web.archive.[...] 2017-03-10
[130] 문서 TPJS, p. 314.
[131] 서적 One in the Spirit Hodder and Stoughton
[132] 성경 1Cor 12:13
[133] 성경 Jn 19:34, 1 Jn 5:8
[134] 웹사이트 CCC: (nos. 694–701) https://www.vatican.[...]
[135] 성경 Revelation 21:6 and Revelation 22:1
[136]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Celebrating the Church's liturgy https://www.vatican.[...] 2020-08-10
[137] 성경 2Cor 1:21
[138] 성경 Lk 9:34–35
[139] 성경 Mt 3:16
[140] 성경 Jn 3:8
[141] 성경 Acts
[142] 서적 Renaissance Art: A Topical Dictionary
[143] 서적 Gardner's Art Through the Ages: The Western Perspective
[144] 서적 The Meaning of Icons
[145] 서적 We Believe in the Holy Spirit InterVarsity
[146] 서적 The Holy Spirit: Classic and Contemporary Readings Wiley
[147] 웹사이트 Ah Geadh-Glas Archives https://web.archive.[...] 2020-03-11
[148] 웹사이트 Christians on a Wild Goose Chase https://www1.cbn.com[...] 2013-09-25
[149] 서적 Remember God B&H Publishing Group
[150] 웹사이트 하늘과 땅의 삼위 일체 http://www.nationalg[...]
[151] 서적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Baker Book House
[152] 서적 In Understanding be Men:A Handbook of Christian Doctrine. Inter-Varsity Press
[153] 서적 조직 신학 : 성경 교리 개론. Inter-Varsity Press; Grand Rapids, MI : Zondervan
[154] 웹사이트 카톨릭 교회의 교리 문답 http://www.vatican.v[...]
[155] 웹인용 Hebrew names for God http://www.hebrew4ch[...]
[156] 서적 Acts and Pauline writings
[157] 서적 The Power of God in Paul's Letters
[158] 서적 Spirit of Truth: The origins of Johannine pneumatology
[159] 서적 Jesus in Trinitarian Perspective: An Introductory Christology
[160] 서적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Baker Book House
[161] 서적 John
[162] 서적 The Gospel of John: Question by Question
[163] 서적 Lord, giver of life
[164] 서적 Invocation and Assent: The Making and the Remaking of Trinitarian Theology. Wm. B. Eerdmans Publishing
[165]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Trinity
[166] 서적 Companion Bible–KJV–Large Print Kregel Publications
[167] 서적 The Holy Spirit and the Christian Life
[168] 서적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http://www.google.co[...] Baker Academic
[169] 뉴스 Norfolk schools told Holy Ghost 'too spooky' http://education.gua[...] 2005-04-11
[170] 웹사이트 카톨릭 교회의 교리 문답 http://www.vatican.v[...]
[171] 웹사이트 성경 중심에 있는 Interlinear Bible http://biblehub.com/[...]
[172] 웹사이트 성경 중심에 있는 Interlinear Bible http://biblehub.com/[...]
[173] 웹사이트 성경 중심에 있는 Interlinear Bible http://biblehub.com/[...]
[174] 웹사이트 성경 중심에 있는 Interlinear Bible http://biblehub.com/[...]
[175] 웹사이트 성경 중심에 있는 Interlinear Bible http://biblehub.com/[...]
[176] 웹인용 Strong's Hebrew: 1847. דָּ֫עַת (daath) -- knowledge https://biblehub.com[...] 2019-01-04
[177] 웹사이트 http://biblehub.com/[...]
[178] 웹사이트 http://biblehub.com/[...]
[179] 웹사이트 http://biblehub.com/[...]
[180] 웹사이트 http://biblehub.com/[...]
[181] 웹사이트 http://biblehub.com/[...]
[182] 웹사이트 http://biblehub.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